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디자인패턴학습필요성
- Go디자인패턴
- Golang부하테스트
- GO벤치마킹
- Line차트
- Vue.js
- Go성능테스트
- pprof
- snoflake
- vue3
- 디자인패컨
- vue3 통신
- GObenchmark
- line챠트
- 대역폭측정하기
- Golang성능테스트
- Go벤치마크
- go로드맵
- golang uuid
- go리플렉션성능
- vue3 axios
- Golang벤치마킹
- Iperf3
- Golangbenchmark
- vue3-chartjs
- GO부하테스트
- 리플렉션성능
- 챠트그리기
- Golang디자인패턴
- golang벤치마크
Archives
- Today
- Total
import ( "코딩", "행복", "즐거움" )
Interpreter 패턴 본문
인터프리터 패턴??
Interpreter 패턴은 특정 언어의 문법 규칙을 클래스화하고, 이를 사용하여 특정 언어로 작성된 문장을 해석하는 패턴입니다.
이 패턴은 각 문법 규칙을 나타내는 AbstractExpression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로 구성됩니다. 이 클래스들은 해석하고자 하는 언어의 구문 요소를 나타내며, 해석하는 데 필요한 메서드를 구현합니다.
Interpreter 패턴에서는 Context 클래스가 사용될 수있고 생략할 수 도 있어요 ..
Context 클래스는 해석하고자 하는 언어의 상태를 저장하며, Expression 클래스에서 이 상태를 참조하여 결과를 반환합니다. Context 클래스는 ConcreteContext 클래스로 구현되며, 해석하고자 하는 언어의 상태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.
Interpreter 패턴은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, 복잡한 문법의 언어를 해석하는 데 유용합니다. 예를 들어, SQL 질의문이나 수학식 등을 해석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Interpreter 패턴은 다른 디자인 패턴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Composite 패턴과 함께 사용하여 복잡한 언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
말은 어렵지만 예제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type Direction int
const (
NORTH Direction = iota
EAST
SOUTH
WEST
)
type AbstractExpression interface {
Interpret(robot *Robot) error
}
type MoveExpression struct {
steps int
}
func (m *MoveExpression) Interpret(robot *Robot) error {
for i := 0; i < m.steps; i++ {
robot.MoveForward()
}
return nil
}
type TurnLeftExpression struct{}
func (t *TurnLeftExpression) Interpret(robot *Robot) error {
robot.TurnLeft()
return nil
}
type TurnRightExpression struct{}
func (t *TurnRightExpression) Interpret(robot *Robot) error {
robot.TurnRight()
return nil
}
type Robot struct {
x int
y int
facing Direction
}
func (r *Robot) MoveForward() {
switch r.facing {
case NORTH:
r.y++
case EAST:
r.x++
case SOUTH:
r.y--
case WEST:
r.x--
}
}
func (r *Robot) TurnLeft() {
r.facing = (r.facing + 3) % 4
}
func (r *Robot) TurnRight() {
r.facing = (r.facing + 1) % 4
}
type Interpreter struct {
expressions []AbstractExpression
}
func (i *Interpreter) Interpret(robot *Robot) error {
for _, expression := range i.expressions {
err := expression.Interpret(robot)
if err != nil {
return err
}
}
return nil
}
func main() {
robot := &Robot{x: 0, y: 0, facing: EAST}
interpreter := &Interpreter{
expressions: []AbstractExpression{
&MoveExpression{steps: 3},
&TurnLeftExpression{},
&MoveExpression{steps: 2},
&TurnRightExpression{},
&MoveExpression{steps: 1},
},
}
err := interpreter.Interpret(robot)
if err != nil {
fmt.Println("Error:", err)
} else {
fmt.Printf("Robot is at (%d, %d) facing %d\n", robot.x, robot.y, robot.facing)
}
}
위 코드에서 Robot 클래스가 Context와 같은 역활을 수행합니다.
'소프트웨어 아키텍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재자 패턴 ( Mediator Pattern ) (0) | 2023.03.27 |
---|---|
메멘토 패턴을 이용한 객체 상태 관리 (0) | 2023.03.24 |
디자인패턴 종류 (0) | 2023.03.19 |
테스트까지 작성하고 이해하는 레이어드 아키텍처 (2) | 2023.03.13 |
플라이웨이트 패턴 (0) | 2023.03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