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pprof
- golang uuid
- 챠트그리기
- go로드맵
- 대역폭측정하기
- vue3-chartjs
- 디자인패턴학습필요성
- GObenchmark
- line챠트
- GO부하테스트
- 리플렉션성능
- go리플렉션성능
- Iperf3
- Line차트
- Vue.js
- Golang부하테스트
- GO벤치마킹
- snoflake
- 디자인패컨
- Go벤치마크
- golang벤치마크
- vue3 통신
- vue3 axios
- Golang벤치마킹
- vue3
- Golang성능테스트
- Go성능테스트
- Golang디자인패턴
- Go디자인패턴
- Golangbenchmark
- Today
- Total
목록잡다한 테크지식 (2)
import ( "코딩", "행복", "즐거움" )

원문 : https://zenn.dev/revenuehack/articles/dc5a901fbe90e6 データベースの仕組み(アーキテクチャ)をざっくり理解する DDDやCleanなどの設計やAWSが好き→MENTAで教えています 基本専らGoを書いています。 AWS SAA保持者 zenn.dev 데이터베이스(RDB)의 구조(아키텍처)는 대체로 동일하다. RDB라고 하면 Oracle SQLServer MySQL Postgres 등이 유명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 다만 RDB의 세부적인 사양이나 디자인, 네이밍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모든 RDB는 비슷한 아키텍처를 가지고 있습니다. 따라서 하나의 RDB의 구조를 따라가면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이번에는 MySQL을 주제로 아키텍처를 설명해 보겠습니다! SQL의 처리 ..
요즘 각광받고 있는 이 기술은 2011~2012년 쯤 이름이 정해진 것으로 이미 오래전 부터 나온 기술이다. 클라우드와 가상화 기술이 발전하면서, 이미 앱 개발 쪽에서는 이 기술이 표준화 될 정도로 많이들 사용하는 것 같다. 게임개발 쪽에서는 대기업에서 일부 채용하여 개발 중이거나, 출시된 게임도 있지만, 중소기업이나, 스타트업에서는 아직 모놀리식 개발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. ( 주변 개발자들 이야기 참고 )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는 각기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할 수 있으며, 작은 단위의 마이크로 서비스 들이 RESTful 또는 메시징 방식으로 통신한다. 마이크로 서비스 개발 방식에 대해서 설명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이 모놀리식 개발 방식이다. 모놀리식은 쉽게 말해서 마이크로서비스가 ..